반려동물을 위한 공간

반려동물 관련 정보를 모두 담은 백과사전 같은 블로그입니다.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펫맘/펫데드를 위한 유용한 정보와 꿀팁을 나눕니다.

  • 2024. 4. 8.

    by. vipick

    목차

      반응형

      애완동물을 가족으로 맞이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반려인들은 반려동물을 양육할 때 알아둬야 할 건강 필수 지식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고 공부하게 되는데요, 그렇다면 수의사와 수의학 학문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이번글에서는 수의학의 정의와 역사, 수의학의 종류와 주요 수의학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수의학
      수의학

      수의학의 정의

      수의학은 반려동물, 야생동물, 가축 등 동물의 질병치료를 다루는 의학분야를 말하며, 가축생산, 동물의 위생관리와 사육관리, 건강유지 및 질병예방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인수공통감염병 예방 및 검역, 환경생태계 보호, 식품위생, 신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생명공학, 세포공학 등에 활용되면서 인간을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의학의 역사

      수의학은 인간과 동물이 유대감을 형성하기 시작한 오래전, 기원전 1900년대의 기록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최근에는 동물에 대한 첨단 진단 및 치료 기술이 발달되면서, 동물들에게 인간의학, 치과, 외과 등의 치료가 적용되기도 합니다.


      한국의 수의학 역사

      삼국시대 고구려 인물 '혜자'는 '일본서기'에 등장한 한국 역사상 최초수의사로서 일본 수의학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수의사'에 대한 기록이 나타났고, 1076년 한국최초 수의과를 교육하는 12과에 수의박사 관직(공무원)이 배치되었습니다. 고려말에서 조선초기 개국공신 조준이 한국사 최초의 수의학 서적인 '신편집성 마의방 우의방'을 편찬하여 말과 소에 대한 질병과 치료방법을 정리하였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수의사가 '수의'또는 '마의'라고도 불렸는데, 경국대전을 기준으로 종 6~9품까지 10명에게 마의 관직을 내렸습니다. 갑오개혁(1894년) 이후 교육은 서양수의학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으며, 전문수의학자를 배출하기 위한 교육이 시도되었습니다. 한국은 해방 후 수의학과와 축산학과를 분리하기 시작했고, 농과대학에 수의학부에서 서울대학교 수의학부로 발전하다가 현재의 수의사 교육 과정이 완성되었습니다.

      서양의 수의학 역사

      동북아시아 최초의 수의학 기록은 중국 주나라와 전국시대의 여러 나라의 현황을 기록한 주례의 천광총재에서 알 수 있습니다. 약 2000년 불교의 영향을 받은 아소카대왕(전 인도 마우리아 왕조)은 동물을 보호하고 학대를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하는 동시에 동물병원을 설립하고 동물만을 진료하는 의사제도 세웠습니다. 중세시대 이슬람 기록에 따르면 중세에는 고양이 의사와 보호소가 등장했습니다.
      18세기 유럽에서는 현대적 의미의 수의사와 수의학 교육이 등장했습니다. 1762년 프랑스 리옹에서 근대적 수의과대학이 세워졌고, 1783년 영국에서는 전문 수의사를 확립시킨 '오디햄 농업회'는가 세워졌으며, 1791년부터 영국에서는 수의사를 양성하기 위한 왕립수의대학과, RCVS(1844년 Royal College of Veterinary Surgeons)이 세워졌습니다.

      주요 수의학자

      제임스 헤리엇 James Herriot (1916-1995): 책으로 유명한 영국 수의사
      클로드 부르겔라 Claude Bourgelat (1712-1779): 최초로 수의학교를 설립한 프랑스 수의학자
      존 맥파디안 John McFadyean (1853-1941): 세계 최초의 수의학 교수이자 백신학자인 영국 수의학자
      루돌프 피르호 Rudolf Virchow (1821-1902): 세포학의 아버지, 독일의 병리학자이자 수의학자
      에드워드 제너 Edward Jenner (1749-1823): 우두법을 발견한 영국 의학자
      윌리엄 오슬러 William Osler (1849-1919): 수의학에 기여한 영국 의학자

      수의학의 종류

      기초 수의학

      • 수의해부학
      • 수의조직학
      • 수의발생학
      • 수의생리학
      • 수의생화학
      • 수의면역학

      예방 수의학

      • 수의공중보건학
      • 수의기생충학
      • 수의세균학
      • 수의바이러스학
      • 수의병리학
      • 수의약리학
      • 수의독성학
      • 수의통계학
      • 수의전염병학

      임상 수의학

      • 수의임상병리학
      • 수의영상의학
      • 수의마취학
      • 수의내과학
      • 수의외과학
      • 수의산과학
      • 수의치과학
      • 수의안과학
      • 수의피부과학

      기타 수의학

      • 조류질병학
      • 수생동물의학
      • 실험동물의학
      • 야생동물의학
      • 반려동물의학
      • 산업동물의학

      와~ 정말 수의학은 인간학만큼이나 광범위하네요! 우리 사랑하는 강아지 고양이들을 이제 안심하고 수의사에게 맡길 수 있을 것 같아요.  우리 반려인들도 수의학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많이 쌓아서 반려동물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도와줍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