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반응형반려동물이 일생에서 겪을 수 있는 흔하고 경미한 질환부터 노령견이 되어가면서 앓을 수 있는 중대 질병들에 대해 하나하나 알아볼 건데요, 이 글에서는 강아지 고양이가 자주 겪는 피부질환의 종류 6가지, 주요 증상, 치료 프로세스 및 예방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피부질환은 반려동물이 산책을 자주 나가거나 여름이 다가온다면 특히 더 조심하고 준비해야 합니다. 생명에 위협을 주지는 않지만 평생 따라다니면서 반려친구와 보호자 모두를 괴롭히는 피부병으로부터 예방해 봅시다.
강아지 피부병 반려동물 피부병 종류 6가지
진드기, 기생충 감염
진드기, 벼룩, 이, 옴 등의 기생충 감염입니다. 퇴치제나 항진드기 치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알러지성 피부병
반려동물의 피부가 환경적 요인이나 음식물 알레르기에 반응하여 발생하는 흔한 피부 질환입니다. 주로 가려움증, 발진, 피부 건조함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집먼, 풀, 꽃가루 등이 있으며, 음식물 알레르기로는 콩, 밀, 치킨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세균성 피부병
피부에 세균 감염이 발생하여 발적, 발진, 가려움증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종종 스태피로코커스나 말라세지아 같은 세균에 의해 유발됩니다. 피부 손상이 있는 경우 세균이 쉽게 침입하여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곰팡이 감염
곰팡이 감염은 피부에 곰팡이가 번식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로 피부의 비듬, 발적, 가려움증을 유발하며, 종종 화농성 염증을 동반합니다. 곰팡이 감염은 반려동물 간 전염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가면역성 피부질환
자가면역성 피부질환은 면역 시스템이 반려동물의 피부 조직을 공격하는 상태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루푸스가 있으며, 피부 염증, 발진, 궤양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면역억제제나 스테로이드를 포함한 특별한 치료법이 필요합니다.
피부종양
양성이나 악성 종양이 피부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과치료가 필요하고 조직검사를 통해 종양을 확인합니다.반려동물 피부병 주요 증상
가려워서 피부를 자주 핥음
붉은 반점들이 보임
염증 뾰루지
비듬 하얀 각질이 일어남
피부병 부위의 털이 빠짐
피부가 건조해지고 모공이 보일 수 있음
피부가 얇아짐
상처와 궤양반려동물 피부병 치료 프로세스
정확한 진단
수의사는 피부 샘플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조사하거나 피부알레르기검사를 통해 진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
질환의 종류와 심각성에 따라 항염증제, 항생제, 항진균제 등의 약물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식이, 위생 관리
환경이나 먹이에 대한 변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알러지성 질환의 경우 알레르기 유발 요소를 피하고 적절한 영양을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특별한 샴푸나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피부를 관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외과적 치료
수의사가 외과 치료가 필요한 동물의 피부종양이나 괴사 된 피부 부위를 제거합니다.반려동물 피부질환 예방 관리 방법
규칙적인 목욕
애완동물의 목욕주기는 사람처럼 매일 씻지는 않더라도 최소 2주에 한 번은 목욕을 꼭 시켜주세요. 그렇다고 너무 자주 목욕을 시키면 피부의 자연 기름을 제거하여 건조함을 유발할 수 있으니 적당한 빈도로 목욕을 시켜야 합니다.
현재 피부병을 앓고 있다면 약용 샴푸로 한번 가볍게 세척한 뒤, 다시 한번 약용샴푸로 거품이 풍부해지게 마사지하고 10분 동안 기다렸다가 헹궈주세요. 그리고 항문낭이 있다면 짜주세요. 목욕 후에는 꼭 말려주어야 곰팡이나 습진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어요.
영양소가 풍부한 사료 선택
식품과 영양은 반려동물의 피부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균형 잡힌 영양소가 반려동물의 피부의 방어 기능을 강화하고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높은 품질의 사료를 선택하고 필요시 수의사와 상의하여 영양 보충제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신선한 식재료로 수제음식을 먹이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는 걸 기억하세요.
외부 위생 관리
현대에는 애견침대나 애견쿠션을 많이 이용하는데 비해 세탁을 자주 안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외부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도 피부 건강에 중요하니 깨끗한 장소에서 생활하도록 주의하고 자주 사용되는 침구류와 장난감을 청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애완동물 전용 침구 소독제를 이용해도 좋습니다. 먼지를 최소화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 및 구충
구충제는 한 달에 한번 급여해 주세요. 일부 피부 질환은 질병이나 기생충 감염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방접종과 구충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피부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주기적인 피부 검사
반려동물의 주기적인 피부 검사는 피부 질환의 초기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피부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이상을 발견하면 즉시 수의사에게 상담해야 합니다. 조기 발견과 치료는 피부 질환의 심각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수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동물 소화계 질환의 종류 6가지 (0) 2024.04.08 반려동물의 내분비질환 종류 4가지, 주요 증상 및 관리 (0) 2024.04.08 반려동물 수술 전 준비 4가지, 수술 후 관리 후송케어 8가지 (0) 2024.04.08 반려동물 건강검진 종류, 검진비용, 검진주기 및 건강검진의 중요성 3가지 (0) 2024.04.08 반려동물 임상 검사의 종류 10가지 (0) 2024.04.08